디자인

힐페 디자인챕터에서 Abstract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힐페 디자인챕터에서 Abstract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힐페 디자인챕터에서 Abstract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Product Owner

안녕하세요. 힐링페이퍼의 프로덕트 디자이너 Jane입니다.

이번 글에서 힐페 디자인 챕터에서 Abstract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 지를 기본 Abstract 사용법과 함께 공유하려고합니다.

저는 이전에 Abstract를 얕게 사용했었던 유저였는데요, 이전에 Abstract를 사용할 당시에는 디자인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상태였고, 단지 파일의 버전 관리의 목적이 전부였습니다. 때문에 Abstract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하는 법을 제대로 몰랐었고, 그동안 뭔가 알 듯하면서도 헷갈렸던 기능이 꽤나 많았습니다.(이번에 Abstract를 제대로 도입하면서 알게된 기능이 많았어요.) 이번 글을 통해 저와 같이 헤맸었던(?) 경험이 있었던 분, 그리고 팀 내에 앱스트랙트 도입을 고려 중인 분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라봅니다!

왜 Abstract를 도입했나요?


현재 힐링페이퍼 디자인 챕터 내에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저를 포함해서 총 4명이 되었고 앞으로도 좋은 디자이너분들을 꾸준히 영입할 계획입니다. 인원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디자이너 간의 디자인 동기화와 효율적인 협업입니다. 이는 프로덕트가 일관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때문에 스케치 파일의 히스토리 관리 및 파일 공유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Abstract를 도입해 앞으로 더 많은 디자이너와 협업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지금보다 더 좋은 방식을 찾아내려고 합니다.

👍 먼저 Abstract의 강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 용어 설명 및 기본 사용법

전체 맥락상 Abstract 내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기본 사용법은 따로 페이지에서 소개해드리니 기본 사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해당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기본 용어 설명

Guide 1. Master에서 1개의 Branch 생성 후 Merge하기

Guide 2. 2개 이상의 Branch 생성 후 Update from Master 사용하기

Guide 3. Branch 중첩으로 생성하고. Archive 기능 활용하기

Guide 4. Library 기능 활용하기

앱스트랙트의 간단 구조도앱스트랙트의 간단 구조도
앱스트랙트의 간단 구조도

🧐 힐페 디자인 챕터에서 앱스트랙트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1. 스케치 파일 관리


마스터 파일 업로드 예시마스터 파일 업로드 예시
마스터 파일 업로드 예시

스케치 파일 내 페이지 생성 예시스케치 파일 내 페이지 생성 예시
스케치 파일 내 페이지 생성 예시

2. Commit과 Merge의 체계화(Commit은 자주, Merge는 확실할 때)


3. 라이브러리 활용을 통한 디자인 시스템 적용


프로덕트의 일관된 디자인을 위해 디자인 시스템 파일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따로 생성해 공통된 요소는 모두 Import - Override로 작업할 수 있게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심볼로 만들어 둔 컴포넌트 예시심볼로 만들어 둔 컴포넌트 예시
심볼로 만들어 둔 컴포넌트 예시
컬러 스타일 예시컬러 스타일 예시
컬러 스타일 예시

(추후 Library 기능 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스케치 파일 관리하는 방법은 따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점들!


마치며


이번 디자인챕터의 Abstract 도입은 단순히 버전 관리 툴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개념에서 그치지 않고, 우리의 프로덕트 디자인의 히스토리를 통해 그것이 왜 변해왔는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은 어디인지에 대한 고민의 작은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